블록스택 커뮤니티 AMA 정리 - 채굴, IPO, 상장, PoX 등
지난 13일 진행된 블록스택 AMA엔 블록스택의 Grown & Production Partner인 잔(Xan)과, 커뮤니티 파트너 루이스(Louise), 그리고 한국의 블록스택 에반젤리스트 GM 님이 함께해 주셨습니다. 블록스택 채굴과 스택킹, BNS, IPO, 상장, Pox 콘센서스 등 다양한 질문들이 쏟아졌습니다.
AMA에서 나온 질문 중 주요 질문들을 골라 정리해봤습니다. 블록스택에 관심있거나, STX 토큰을 보유중인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AMA 정리
정확한 전달을 위해, 답변 내용은 번역과 원어를 함께 첨부했습니다.
Q1.
스택스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비트코인의 느린 속도는 스택스 블록체인을 사용하려는 개발자들에게 단점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A1.
오히려 그 부분이 블록스택 Proof of Transfer의 (단점이 아닌) 장점입니다. PoX를 통해 스택스 체인의 보안성은 비트코인 체인과 엮이게 되며, 이는 비트코인 체인의 단점을 답습하지 않으면서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네트워크 상 지불 수단이나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해 쓰이는 것이 아닙니다. 그저 컨센서스 메커니즘에 활용되는 자산으로서 흘러들어올 뿐입니다.
This is the genius behind proof of transfer. Proof of transfer allows us to extend the security of Bitcoin to the Stacks chain, but without being subject to negative side effects of that chain. BTC is not used on the network for payments or smart contracts, just as one of the assets flowing through the consensus mechanism
[세스의 TMI]
-> 블록스택은 마이닝 과정에서 비트코인이 활용됩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현존하는 가장 느린 암호화폐 중 하나죠. 이 부분이 블록스택에게 방해가 되지 않느냐는 질문이었는데요. Xan의 답변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합의 과정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느린 속도가 블록스택에 영향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비트코인 속도와 블록스택 네트워크 속도는 무관하다는 의미입니다.
Q2.
"스택스 체인에서 블록생성을 위해 BTC를 사용(전송)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STX를 받게 됩니다." 에서 BTC를 가장 많이 전송한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나요? 아니면 BTC는 블록 생성 확률을 높이는 역할을 하나요?
A2.
좋은 질문입니다. 답은 두번째 입니다. 더 많은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록, 채굴에 성공하는 마이너가 될 확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프로토콜은 비트코인의 지불과 검증 가능 난수 함수 기능을 함께 사용하게 됩니다.
Great question, it's the second one. The more BTC you spend, the higher your chances of being selected the winning miner. The protocol accomplishes this by combining the BTC payments with a Verifiable Random Function
[세스의 TMI]
Xan이 좋은 질문이라고 해줬네요. 마이너들이 BTC 보내는 양에 따라 블록 생성 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답변에 따르면 많은 BTC를 보낼수록, 많은 stx 토큰을 채굴하겠지만, 장기적으론 소규모 마이너도 적절한 분배를 받겠네요. (BTC 전송량 = 확률 Up) 아, 물론 제 질문 입니다 ^^
Q3.
stx에서는 POX를 사용합니다. POX에서 채굴자들은 채굴을 위해서 일정 수량의 비트코인을 가지고, 그것을 stx체인에 보내야하는데요. 그렇다면 채굴을 하기 위한 진입장벽이 너무 높은 것은 아닐까요? 일반인을 위한 채굴방법도 존재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A3.
제 생각엔 반대로 진입장벽에 있어 매우 낮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생각해보면 이는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는 누구나 특별한 하드웨어 없이 STX 마이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교해 보자면 IPFS 채굴의 경우, 필요한 시작 자본이 1백만 달러 정도 됩니다. 대략 작업증명 마이너와 같은 수치입니다. 반대로 저희의 마이닝은 비교적 매우 단순합니다. 때문에 중기적으로 보았을때, 이를 실행해줄 수 있는(채굴용) 앱이나 서비스가 나올수 있다 생각합니다.
I think that's a very low threshold for mining. That means anyone can be an STX Miner, without needing any special hardware. As a comparison, the upfront capital costs to mine IPFS are around $1million USD. STX Mining, if anything, is more like a trading activity than being a PoW miner. As a result, I think it wil lbe very simple to do, and medium term I think you'll even be able to do it via an app or something similar
Q4.
예전 기사에서 ipo를 준비한다는 것을 봤는데 지금도 준비중인가요. 그러면 주식 시장에 상장되는 첫 프로젝트가 될 텐데 그 과정에서의 법률적인 이슈나 증권형 토큰의 문제점은 어떻게 해결하나요
A4.
저희는 IPO를 준비하고 있지 않습니다. 저희는 2019년에 Regulation A+를 통해 토큰 세일을 진행했었습니다. 이는 Reg A의 허가 아래 이루어진 최초 유틸리티 토큰 세일입니다. 하지만 토큰은 주식이 아니기에 STX가 주식시장에 상장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진행중인 법률에 따라 향후 STX가 미국 기반 거래소에 상장될 수 있을 것입니다.
No, we are not preparing for an IPO. We did a token sale through a Regulation A+ offering in 2019. This was the first token utility ever to get approved to do a Reg A raise. This does not mean it will be listed on stock exchanges, as it isn't a stock. but pending regulation, in the future STX should be able to be listed on US based exchanges.
[세스의 TMI]
블록스택이 IPO를 준비한다는 말이 있었는지 몰랐네요. 찾아봐야겠습니다. 최근 IPO를 진행하는 크립토 업체들이 꽤 보입니다. IPO 외에도 BnkTotheFuture 같은 비상장주식 투자 플랫폼을 보면 크립토 업체가 아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Q5.
전송증명(Proof-of-Transfer, PoX)이 지분증명(Proof-of-Stake, PoS) 방식과 다른점은 무엇인가요?
A5.
GM : PoX는 블록생성을 위해 BTC를 사용하고 STX를 채굴합니다. 마치 PoW와 유사합니다. 비트코인 채굴에서 전력을 사용하는 것처럼 스택스 체인에서는 전력(컴퓨팅파워) 대신 BTC를 사용합니다.
PoS 모델은 스택킹(Stacking)과 유사합니다. PoX에서 사용된 BTC는 STX를 일정 기간동안 홀드한 스택커들에게 전송됩니다. 스택커들은 자신의 STX를 일정 기간 동안 락(Lock)함으로써 스택스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보상으로 BTC를 받습니다. 이 모습이 마치 PoS와 유사하죠.
Xan : PoX는 PoS보다 PoW와 유사합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STX 마이너들은 새로운 디지털 자산을 얻기 위해 경쟁하고 귀중한 자원을 소비합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전기가 귀중한 자원으로 사용됩니다. 전송 증명의 경우 BTC가 귀중한 자원으로 사용됩니다.
Q6.
블록스택은 블록체인 업계 최초로 sec에서 허가를 받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서 이것이 가능했는지 알려주세요. 대부분의 토큰이 sec의 허가를 받는 것에 굉장히 어려움을 겪는 걸로 알고있어서 여쭤봅니다.
A6.
이를 위해 저희는 18개월이란 시간과 수많은 미팅을 진행했었습니다. 관련해서 세계 정상급의 인재인 저희의 제네럴 카운슬러인 제시와 SEC 모두와 많이 일해온 외부 카운슬러들의 역할이 매우 컸습니다.
It took about 18 months and a lot of meetings. Really our General Counsel, Jesse, is world class, and our external counsel has more experience with the SEC than pretty much anyone.
Q7.
블록스택에서 제로 투 디앱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굉장히 생소해서 그런데 자세한 설명부탁드릴게요.
A6.
사실 그 디앱 튜토리얼은 꽤 이전의 것입니다. 메인넷 런칭 이후 새로운 디앱 개발 프로세스가 업데이트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That's actually the old dapp tutorial we used to have. I believe we're in the process of making a new or updated one that will come out sometime after mainnet launch
Q8.
블록스택의 시장 유동성을 공급해 줄 마켓메이커로 gsr마켓이 있습니다. gsr마켓이 stx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력을 주고 받고 있는지 자세히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A6.
죄송하지만 해당 건에 대해 저는 개입하지 않아서 디테일을 말씀 드릴 수 없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기본적인 마켓 메이킹이라 생각합니다. SEC는 GSR과 함께하는 것을 비롯해 저희의 모든 비즈니스 파트너들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해당 행위에 대해선 준법적인 선에서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Sorry, I'm not involved with this deal so don't know the details. Sorry, I'm not involved with this deal so don't know the details. the SEC sees a copy of every business partnership we make, including the one with GSR. So their activities have to also comply
[세스의 TMI]
왜 이 질문이 나왔을까 보니, GSR 캐피탈 홈페이지에 블록스택이 나와있네요. 블록스택은 Reg.A를 통과한 이후 계속해서 SEC의 감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마켓메이킹도 가격이 아닌 유동성 관련 "합법적인" 마켓 메이킹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Q9.
블록스택에는 BNS가 존재합니다. BNS가 ip주소를 대신하는 개념같은데요. ip주소 같은 경우 자리수의 제한이 존재하여 주소의 갯수를 늘리기 위해 애를 먹었는데요. bns의 주소 체계에서는 주소가 몇개나 존재하는지요? 전세계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넉넉한 자리수를 가지고 있는지요?
A9.
IP 주소가 아니라, 도메인 네이밍 서비스를 대체하는 것입니다. (DNS)
Not IP address, it repalces the Domain Naming Service (DNS)
[세스의 TMI]
Google.com / Naver.com 같은 도메인 주소(DNS)를 대체하는 시스템 입니다. 이미 이더리움에도 ENS라는 탈중앙화 도메인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예를들어 Seth.eth를 이 블로그 도메인으로 사용하는 겁니다. (지갑 주소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Q10.
스택커들에게 보상되는 stx를 일정기간 lock을 걸어둘 경우 btc를 보상하는데요. 이때 락 해지에 제약이 있나요? 그리고 stx홀더들이 참여기간에 비례한 보상비율 정책이 구체화 되어있나요? 마지막으로 한국 거래소 진출 계획은 메인넷 이후에나 소식이 있을까요?
A10.
7일 간의 현 스택킹 사이클이 끝나기를 기다리면 되고, 다음 스택킹 사이클의 준비단계에서 참여하지 않으시면 됩니다.죄송하지만 정확히 어떤 비율을 말씀하시는 지 모르겠지만, 스택킹에 대한 모델을 찾고계신다면 해당 링크에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stxstacking.com
한국의 거래소에 상장되면 좋겠지만, 아직 정확히 정해진 부분은 없습니다.
No, you simply wait until the current Stacking cycle is over (7 days long) and then do not participate in the prepare phase of the next stacking cycle. Sorry, I'm not sure what ratio you're talking about. If you want to see a pretty decent model of stacking, check out stxstacking.com We would love to list on a Korean exchange, nothing specific to mention at the moment though.
[세스의 TMI]
마지막 문장이 가장 슬프네요..... 그나저나 스택킹 사이클이 7일이었습니다. 스택킹 사이클이 시작되기 전, 준비단계가 존재하고, 그때를 놓치면 다음번 스택킹에 참여해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락 기간은 스택킹 사이클인 7일까요?
Q11.
블록스택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지향하며 탈중앙화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탈중앙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 노드가 타인의 데이터를 임의로 가지고 간다면 어떻게 되나요?
A11.
있을 수 없는 일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체인 상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노드들은 그 어떤 데이터도 받지 않게 됩니다. 유저들은 어디에, 어떻게 데이터가 저장될 지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어디로 옮겨지기 전에 클라이언트 측에서 암호화가 이루어집니다. 유저들은 누구도 데이터를 읽을 수 없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자이나, IPFS 등 분산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됩니다.
This can't happen. We don't store data on chain. As a result, nodes never receive any data. A user can define where and how they want to store there data. The data is encrypted client side before it goes anywhere. Users can store there data in cloud based providers, who can't read the data, or distributed networks like IPFS
많은 분들이 PoX에 대한 질문을 주셨네요. 차후에 블록스택과 PoX 마이닝을 정리한 글을 올려봐야겠습니다. :)
-일부 질문은 제가 의미를 바꾸지 않는 선에서, 문장 구조를 변경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 포스트는 블록스택 한국 커뮤니티의 허락을 받고, 제가 2차 가공한 포스트입니다.
블록스택 한국 텔레그램 : https://t.me/BlockstackChatKorea
블록스택 카카오톡 : open.kakao.com/o/gwKKoGAb
블록스택 홈페이지 : https://www.blockstack.org/
블록스택 한국 블로그 : https://medium.com/blockstack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