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9월 넷째주, 더샌드박스 톺아보기! (업비트, 마이닝, 상장, 공모전) 이번 주는 더샌드박스(The Sandbox) 빅 이슈들이 빵빵! 터진 한주였습니다. 샌드박스 서포터즈, 정하운(Seth)이 한 주간 샌드박스 소식을 정리해봤습니다! 1. 샌드(SAND) 업비트 BTC 마켓 상장! 뭐니뭐니해도 이게 가장 큰 이슈였죠? 샌드박스가 업비트 BTC 마켓에 상장했습니다. 이전에 SAND를 사려면 바이낸스, 후오비 등 해외 거래소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국내 거래소만 사용하는 투자자들도 SAND를 보유하거나, SAND 토큰으로 LAND를 구매하기 용이해졌습니다. 과연 원화마켓 상장은 언제일까요...?! 2. 샌드 토큰 유동성 마이닝 시작 SAND 토큰 유동성 마이닝이 시작됐습니다. 유동성 마이닝(LP)이란 자신의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보상받는 프로그램입니다. 스테이킹된 토.. 2020. 9. 28. 디파이 달러(DeFi Dollar) 소개 & 수익 구조도 최근 디파이(DeFi)를 활용한 유동성 이자농사(Yield Farming)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기존 전통 금융 상품과 암호화폐 금융(CeFi)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몇몇 프로젝트는 두자릿수 APY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규 프로젝트나, 일부 공격적인(?) 프로젝트는 수만% 수익률도 기록하기도 하지만 해당 수익률을 오래 유지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저같은 손실 회피성향 투자자는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이자농사를 선호합니다. 원금을 잃을 염려도 없을 뿐더러, 수익이 안정적으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디파이달러(DeFi Dollar. DUSD)는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유동성 공급(LP) 수익을 올리도록 도와주는 프로젝트 입니다. 유동성 공급에 대해 아직 .. 2020. 9. 18. 더 샌드박스 랜드(LAND) 거래 수수료, 70만배 낮아진다? 이더리움(토큰)을 "한번이라도" 전송해본 사람이라면 압니다. 이더리움 수수료는 비싸고, 심지어 느립니다. 사실 우리나라에선 카카오페이 송금이 무료라서, 2030 들에게 "송금 수수료"는 낯선 개념입니다. 오직 블록체인을 쓰는 사람들에게만 익숙하죠. 그나마 평소엔 건당 수십~수백원 대 수수료는 "낼 만" 했습니다. 하지만 디파이로 인해 이더리움 수수료가 급증했고, 현재 송금/디앱 수수료는 건당 수천~수만원에 달합니다. yEarn.finance 같은 디파이를 쓰려면 5~10만원 가까이 수수료를 낼 때도 생깁니다. NFT를 거래할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NFT를 살때, NFT를 게임(서비스)에서 활용할 때, 그리고 사람들이 NFT를 거래할 때 모두 돈을 내야합니다. 얼마나 자주 수수료를 지불하는지, NFT 더.. 2020. 9. 17. bZx 공격사태 정리 (bZx Attack Case Study) bZx 1차공격 (Fulcrum) 일시 : 2월 14일 피해규모 : 1,271 ETH 과정 : 플래시론에서 10000 ETH 대출 (dYdX) 5500 ETH 컴파운드 담보 → 112wBTC 1300 ETH Fulcrum으로 이동. ETHBTC 5x 레버리지 5637 ETH를 51wBTC로 교환 (카이버네트워크) → 유니스왑 wBTC가격 3배 펌핑 컴파운드 112wBTC를 유니스왑에서 6871 ETH로 교환 남은것 - 3200 ETH(안쓴것-추정), 6871 ETH, 51wBTC (약 1200ETH) 10000 ETH 상환(플래시론) 1271 ETH 차액 해커는 71 ETH 아비트리지 수익 + 51wBTC 펌핑 차익까지 챙김 원인 (취약점) 1. 오라클 2. bZx 오류 bZx 2차 공격 일시 : 2월 .. 2020. 9. 16. 이전 1 2 3 4 5 6 다음